일정 시간이 지난 후 Home Assistant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 이를 위해 input_datetime과 timer를 활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며, 안정적인 트리거 설정을 위해 timer 기반 자동화를 추천하는 이유도 함께 다룹니다.
우선 input_datetime을 활용하면 특정 시간을 설정하여 이벤트를 트리거할 수 있지만, 간혹 트리거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자동화가 씹히거나 누락될 가능성을 줄이려면 timer를 활용하는 것이 더 안정적입니다.
영상에서는 각 설정 방법의 비교 및 실제 적용 예제까지 포함하여 보다 실용적인 스마트홈 자동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.
'iot- Proxmox,홈어시스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.A] USB speaker를 이용하여 TTS로 송출하는 방법 (0) | 2025.04.14 |
---|---|
[H.A] 스마트싱스(공기청정기)를 홈어시스턴트로 불러오는 방법 (0) | 2025.04.14 |
[Proxmox] window11 설치 및 기타 설정 방법 (2부) (0) | 2025.04.14 |
[Proxmox] window11 설치 및 기타 설정 방법 (1부) (0) | 2025.04.14 |
[H.A] Lg 통합구성요소로 불러온 기기들을 reload 하는 방법 (0) | 2025.04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