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e Assistant에서 템플릿 스위치를 이용해 개별 전등마다 자동화를 구성하던 방식은 유연하긴 하지만 관리가 점점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. 이번 설정에서는 통합구성요소의 도우미(Helper) 기능 중 ‘그룹(Group)’을 활용하여 같은 카테고리의 엔터티들—예: 조명(light), 스위치(switch)—를 하나로 묶는 방식을 적용했습니다.
이를 통해 일괄 소등, 상태 동기화 등 반복적인 자동화를 간단히 처리할 수 있어 설정이 훨씬 단순해지고 유지관리도 쉬워졌습니다. 예전보다 훨씬 직관적인 스마트홈 구성이 가능해졌으며, 실사용 측면에서도 반응성이 더 좋아진 느낌입니다.
템플릿보다 그룹이 효율적인 상황이라면,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'iot- Proxmox,홈어시스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roxmox] DSM에 docker를 설치하여 NordVpn, transmission을 활용하는 방법 (0) | 2025.04.14 |
---|---|
[iptime] wireguard(vpn) 설정방법 (0) | 2025.04.14 |
[H.A] zemismart 6구 스위치 설치방법 (0) | 2025.04.14 |
[H.A] 이너릴레이(2선식,중선선x) 설치방법 (0) | 2025.04.14 |
[H.A] 이너릴레이(3선식,중선선o)와 커튼박스에 콘센트 추가하기 (0) | 2025.04.14 |